김형동의원,환경부 시민단체 보조금...'눈먼 돈' 부정수급에도 적발·환수 없이 계속 지원받아
-18개 시민단체에 지급된 부정수급 6,441만원, 이자액만 550만원에 달해

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형동 의원(경북 안동·예천)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, 2020년부터 2022년까지 18개 시민단체가 부정수급한 보조금은 총 6,441만원으로 나타났다. 이들이 수령한 보조금은 총 20억 3,000만원에 달했다. 그러나 文정부 당시 환경부는 시민단체들에 대한 관리·감독 조차 제대로 진행하지 않았다. 이들은 모두 윤석열 정부에 들어와서 환수 조치가 이뤄지기 시작했다.
더 심각한 것은 적발 시민단체 18곳 중 6곳은 2020년부터 3년 연속으로 부정수급이 이뤄졌다는 사실이다. 그러나 환경부는 아무런 제재 없이 이들 시민단체에 보조금을 지급해왔다. 이들이 3년간 지원받은 보조금은 16억 8,300만원으로, 부정수급 시민단체(18곳)의 전체 보조금 중 82.9%나 차지했다.
이에 대해 ‘文 정부 맞춤용 지원금’이 이뤄진 것 아니냐는 의혹이 잇따르고 있다. 3년 연속 적발 시민단체 중 4곳은 문재인 정부의 4대강 조사위원회 전문위원 과반(58.1%)을 차지하며 보 해체를 주도한 ‘4대강재자연화시민위원회’소속으로 밝혀졌다. 또한, 시민단체 중 1곳은 이재명 대선후보를 지지했던 단체이며 1곳은 윤석열 규탄시위 등에 참여한 환경운동연합 소속으로 확인되었다.
최근 윤석열 정부 들어 시민단체의 부정수급에 대한 환수가 이뤄지고 있다. 올해 9월, 환경부는 최근 3년 시민단체 부정수급액 중 약 8,200만원(78.2%)를 환수하는데 성공했다. 남은 2,300만원(21.8%) 또한 올해 내로 모두 환수하겠다는 것이 환경부의 입장이다.
이에 김형동 의원은 “文정부 당시 친여성향의 시민단체에 돈을 퍼주는 것으로 모자라 부정수급까지 눈감고 옹호해준 것은 아닌지 의심된다”라며, “시민단체의 부정수급 적발 시 즉각 환수하고 환수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지원을 원천 차단하는 등 재정건정성을 확보를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”고 지적했다.
<저작권자 ⓒ 뉴스채널A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>
김종우 기자 다른기사보기